[2021] 제사의 종류와 definitio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21:13
본문
Download : 제사의 종류와 정의.hwp
제사의 종류와 definition 에 대한 글입니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 신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순서는 기제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낸다. 순서도 물론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4) 묘제(墓祭)
묘제는 산소에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이다. [가례]를 비롯한 예서에는 순서라는 것은 없으나 우리 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생략(省略))
레포트/기타
제사의 종류와 정의에 대한 글입니다.제사의종류와정의그리 , 제사의 종류와 정의기타레포트 ,
Download : 제사의 종류와 정의.hwp( 56 )
설명
순서






,기타,레포트
제사의종류와definition 그리
제사의 종류와 definition
다.
3) 순서(茶禮)
순서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 날에 지내며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 예를 들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봉사하는 가정에서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 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이 대상이 된다
순서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