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4:23
본문
Download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hwp
설명
악장용비어천가월인
,인문사회,레포트
다. 대왕(대왕)은 유(유)를 떠나 칠수(칠수), 저수(저수) 두 강을 건너고 심산(심산)을 넘어서 기산(기산)밑에 가서 살게 되었는데 유속(유속) 사람들은 그 덕(덕)을 사모하여 모두 대왕(대왕)을 따라 갔으니 따르는 사람이 많아서 칠저(칠저) 강변이 시장과 같았다. 그 움이 이 노래를 지은 세종 때까지 남아 있어서 모두 다 볼 수 있었다.악장용비어천가월인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중국(China) 송과 고려 악장의 influence(영향)관계부터 조선 초까지 악장의 형성과정을 살펴 본 후, 세종 때부터 그 장르 범위가 넓어지고 무엇보다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국한문이 함께 사용되었다는 특징을 단서로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중심으로 악장의 장르적 본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허웅, 용비어천가, 정음사, 1986, pp.52~52. (이선자,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특징」,성균관대 교육대학원 국어교…(省略)
중국 송과 고려 악장의 영향관계부터 조선 초까지 악장의 형성과정을 살펴 본 후, 세종 때부터 그 장르 범위가 넓어지고 무엇보다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국한문이 함께 사용되었다는 특징을 단서로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중심으로 악장의 장르적 본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
Download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hwp( 51 )
순서
Ⅰ. 서론
Ⅱ. 본론
1. 악장의 형성과정
1) 연원 및 전개
2) 변모 양상의 구체화(<용비어천가>를 중심으로)
① 정격성과 변격성
② 민속칭송지사
2. 악장의 장르 논의(<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중심으로)
1) ‘교술시’로 보는 견해
2) ‘서사시’로 보는 견해
3) ‘서정시’로 보는 견해
Ⅲ. 結論(결론)
■ bibliography ■
다음엔 「용비어천가」에서 교술적 성격을 나타내는 몇 장을 지적해 보기로 하겠다
적인ㅅ서리예 가샤 적인이 외어늘 기산 올샴도 하 디시니
야인ㅅ서리예 가샤 야인이 외어늘 덕원 올샴도 하디시니 (제 4장)
( 공류(공류)가 유속(유속)에 터전을 닦고 그 구세손(구세손) 대왕(대왕)이 이곳에서 그 업(업)을 이어 있었는데 대왕(대왕) 때에 적인(적인)이 침범해 왔으므로 피폐(피폐)를 주고, 견마(견마)를 주고, 주옥(주옥)을 주어도 침범을 계속 하였다. 이와 같이 민심(민심)이 따르는 곳에 천심(천심)이 있는 것이다. 왕업이란 이러한 간난(간난)을 겪어야만 하는 것이니 역대 임금에게 그 수성(수성)에 힘써야 할 것임을 경계한 것이다.) 허웅, 용비어천가, 정음사, 1986, pp.44~45. (이선자,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특징」,성균관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987, pp.24~25 재인용.)
칠저 움흘 후성이 니시니 제업우근이 뎌러시니
적도안 움을 지금에 보니 왕업간난이 이러시니 (제 5장)
(익조(익조) 야인(야인)들에게 쫓기어 적도(적도)에 피하였는데 그때 역시 움을 파고 살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