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書感想文,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3:41
본문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docx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타난 과거극복의 문제 김홍섭) 유태인과 나치의 내용을 다룬 작품들은 대부분 철저히 피해자의 관점에서 나치를 비판하는 입장으로 그려져 있지만 `책 읽어주는 남자`는 가해자 중 한명인 한나 슈미츠와 그녀와 얽혀있는 미하엘의 관점에서 과거의 사건을 본다. 이 때문에 독자는 나중에 한나가 비인간적인 나치범죄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난 후에도 그녀에 대한 인간적 연민을 떨쳐버리지 못한다.[독후감,감상문],영화와,명저의,만남,-,영화,‘책,읽어주는,남자’와,한나,아렌트,감상서평,레포트
[讀書感想文,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讀書感想文,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
설명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는 `쉰들러 리스트] 등 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의 내용을 다룬 다른 영화들과는 다르게 독특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 것 같다.”(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타난 과거극복의 문제 -김홍섭).
하지만 이런 점 때문에 “사학자나 culture학자들이 이 작품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홀로코스트 사학자 오머 바르토프는 2000년 『희생자로서의 독일』이라는 논문에서 이 소설이 유대인 희생자들에 대한 얘기는 별로 다루지 않고, 오히려 한나를 희생자로 조명하고 이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화자 미하엘 역시 “희생자의 희생자”로 만드는 왜곡된 시각을 보인다고 비판했다…(skip)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docx( 85 )
[독후감,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 , [독후감,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감상문] 영화와 명저의 만남 -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와 한나 아렌트
![[독후감,감상문]%20영화와%20명저의%20만남%20%20-%20영화%20`책%20읽어주는%20남자`와%20한나%20아렌트_doc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EC%98%81%ED%99%94%EC%99%80%20%EB%AA%85%EC%A0%80%EC%9D%98%20%EB%A7%8C%EB%82%A8%20%20-%20%EC%98%81%ED%99%94%20%60%EC%B1%85%20%EC%9D%BD%EC%96%B4%EC%A3%BC%EB%8A%94%20%EB%82%A8%EC%9E%90%60%EC%99%80%20%ED%95%9C%EB%82%98%20%EC%95%84%EB%A0%8C%ED%8A%B8_docx_01.gif)
![[독후감,감상문]%20영화와%20명저의%20만남%20%20-%20영화%20`책%20읽어주는%20남자`와%20한나%20아렌트_doc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EC%98%81%ED%99%94%EC%99%80%20%EB%AA%85%EC%A0%80%EC%9D%98%20%EB%A7%8C%EB%82%A8%20%20-%20%EC%98%81%ED%99%94%20%60%EC%B1%85%20%EC%9D%BD%EC%96%B4%EC%A3%BC%EB%8A%94%20%EB%82%A8%EC%9E%90%60%EC%99%80%20%ED%95%9C%EB%82%98%20%EC%95%84%EB%A0%8C%ED%8A%B8_docx_02.gif)
![[독후감,감상문]%20영화와%20명저의%20만남%20%20-%20영화%20`책%20읽어주는%20남자`와%20한나%20아렌트_doc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EC%98%81%ED%99%94%EC%99%80%20%EB%AA%85%EC%A0%80%EC%9D%98%20%EB%A7%8C%EB%82%A8%20%20-%20%EC%98%81%ED%99%94%20%60%EC%B1%85%20%EC%9D%BD%EC%96%B4%EC%A3%BC%EB%8A%94%20%EB%82%A8%EC%9E%90%60%EC%99%80%20%ED%95%9C%EB%82%98%20%EC%95%84%EB%A0%8C%ED%8A%B8_docx_03.gif)
![[독후감,감상문]%20영화와%20명저의%20만남%20%20-%20영화%20`책%20읽어주는%20남자`와%20한나%20아렌트_doc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EC%98%81%ED%99%94%EC%99%80%20%EB%AA%85%EC%A0%80%EC%9D%98%20%EB%A7%8C%EB%82%A8%20%20-%20%EC%98%81%ED%99%94%20%60%EC%B1%85%20%EC%9D%BD%EC%96%B4%EC%A3%BC%EB%8A%94%20%EB%82%A8%EC%9E%90%60%EC%99%80%20%ED%95%9C%EB%82%98%20%EC%95%84%EB%A0%8C%ED%8A%B8_docx_04.gif)
![[독후감,감상문]%20영화와%20명저의%20만남%20%20-%20영화%20`책%20읽어주는%20남자`와%20한나%20아렌트_doc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EC%98%81%ED%99%94%EC%99%80%20%EB%AA%85%EC%A0%80%EC%9D%98%20%EB%A7%8C%EB%82%A8%20%20-%20%EC%98%81%ED%99%94%20%60%EC%B1%85%20%EC%9D%BD%EC%96%B4%EC%A3%BC%EB%8A%94%20%EB%82%A8%EC%9E%90%60%EC%99%80%20%ED%95%9C%EB%82%98%20%EC%95%84%EB%A0%8C%ED%8A%B8_docx_05.gif)
![[독후감,감상문]%20영화와%20명저의%20만남%20%20-%20영화%20`책%20읽어주는%20남자`와%20한나%20아렌트_doc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EC%98%81%ED%99%94%EC%99%80%20%EB%AA%85%EC%A0%80%EC%9D%98%20%EB%A7%8C%EB%82%A8%20%20-%20%EC%98%81%ED%99%94%20%60%EC%B1%85%20%EC%9D%BD%EC%96%B4%EC%A3%BC%EB%8A%94%20%EB%82%A8%EC%9E%90%60%EC%99%80%20%ED%95%9C%EB%82%98%20%EC%95%84%EB%A0%8C%ED%8A%B8_docx_06.gif)
다. “이를 통해 그는 전후 세대가 부모세대의 범죄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그리고 그들에게 나치과거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등을 테마화한다. 또 “미하엘과 한나의 사랑이야기를 밀도 있게 그림으로써 한나의 잔혹한 범죄행위가 밝혀지기 전까지 의도적으로 독자들에게 사랑하는 연인으로서의 한나의 모습만을 보여주고 그녀의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킨다. ”슐링크는 1944년에 태어난 전후 세대로서 부모세대가 저지를 죄에 대한 부채의식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전후 세대가 짊어져야 하는 연대 책임 문제를 직접 제기한다.”(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타난 과거극복의 문제 김홍섭)
이 작품은 가해자 세대의 상징을 아버지가 아닌 전후 세대인 미하엘이 사랑하는 연인 한나로 설정했다.